이달부터 한우자조금 거출이 시작됐다.
축산업계의 의무자조금으로는 양돈에 이어 두번째로 순조롭게 거출이 이뤄진다면 올해 조성규모는 정부 지원금 포함 76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동안 한우산업은 산지 소값의 안정속에 사육마리수가 꾸준히 늘어나는 등 평온 상태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한우산업의 내면은 언제 둑이 터질지 모를 위기감이 잠재되어 있다.
연내 미국산 쇠고기가 수입재개 될 수 있다는 전망속에 쇠고기 가격전쟁의 우려, 호주산 생우수입, 소 부루세라병의 확산 등 한우농가에게는 달갑지 않은 일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곧 시행될 것처럼 보이던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의 표류와 식지 않는 사육열기도 한우업계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한우자조금의 시행은 둑이 터질 경우 피해를 최소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실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마련한 사업계획에는 한우고기 소비홍보는 물론 유통투명화 감시단 설치와 한우판매점 인증사업, 수급조절 기능 등이 포함돼 이 같은 기대를 뒷받침하고 있다.
하지만 자조금 거출을 두고 중간상인의 거부 움직임, 도축장 비협조 등의 잡음이 일고 있다.
시행초기에 일어날 수 있는 시행착오에 불과하겠지만 그 착오가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한우산업 발전에 역행할 수 있다.
빠른 시일내에 시행착오를 종식시키기 위해선 한우자조금 거출 주체는 한우농가라는 점을 다시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선 중간상인과의 거래시 자조금 몫도 거래가격에 포함시키는 거래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중소규모의 농가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