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간 농업분야 협력이 민간차원에서 정부차원으로 확대 발전하고 있다. 지난 18, 19일 이틀간 개성에서 열린 남북농업협력위원회 1차 회의에서 남과 북이 북측 일정 지역에 협동농장을 선정하고 이 지역에 대해 남측이 육묘시설과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기자재와 배합사료 및 영농기술 등을 내년부터 지원키로 하는 등 7개항의 합의문을 타결한 것이다.

남북농업협력위원회 1차 회의가 열려 남과 북의 정부 당국자가 마주 앉은 것도 의미심장한 일인데 이같은 합의까지 이끌어 냈으니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번 남북간 합의는 농자재 및 영농기술 지원 뿐만이 아니라 산림병·해충 방제 등 산림자원 확충 협력, 축산·과수·채소·잠업·특용작물 분야 협력사업 발전 등 다양해 앞으로 남북간 농업분야 협력은 전방위적으로 활발하게 추진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는다.

특히 그동안 민간차원에서 추진돼온 남북간 농업교류가 정부차원으로 확대 발전됐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에다 그동안 북측의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단순한 남측의 식량지원 차원에서 벗어나 식량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인 기술적 지원이 본격화된다는 점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같은 성과는 앞으로 남북간 농업분야 교류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기에 충분하다. 아울러 남북간 교류의 물꼬를 트는데 있어 선봉역할을 해온 농업분야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와 자부심을 갖게 한다. 다시 말해 남북교류에 있어 농업분야의 역할이 매우 막중하며, 앞으로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번 합의를 계기로 앞으로 남북간 농업분야 교류와 협력이 더욱 활발하게 이뤄지길 바라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 측의 철저한 준비가 선행돼야 할 것이다. 정부와 농업계는 이번 합의가 남북관계를 보다 발전시키고 나아가서는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각 분야별 전문가 집단을 활용한 구체적이고도 실천가능한 지원방안 마련에 착수해야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아울러 너무 가시적인 성과에 집착하기 보다 내실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농업분야 남북교류가 발전돼야 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동안 추진돼온 민간차원의 농업부문 남북교류는 남북관계를 활성화시키는 물꼬를 트는데 초점이 모아졌다. 그러나 정부차원에서 교류가 시작되면 가시적인 성과에 집착할 가능성이 짙고, 성과만 중시하다보면 오히려 남북관계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남북간 농업부문 교류 및 협력 합의가 이제 막 물꼬를 트기 시작하는 남북관계를 개선시키고 그 이상의 단계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차근차근 추진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