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소비자들이 식품 안전성 문제에 갈수록 민감해지고 있는데다 시장규모도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편리성을 추구하는 최근 트렌드로 신선농산물을 직접 구매하는 것보다 가공식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더 늘어나고 있으며 외식비중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시장변화에 따라 농업분야도 새로운 부가가치를 확보하고 농산업의 외형을 넓히는 차원에서 식품산업의 중요성이 부쩍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농림부도 최근 새로운 슬로건으로 ‘농식품 세계일류’라는 표현을 내세우며 식품산업의 중요성을 새삼 부각시키고 있다.
또 몇 년 전에는 부서 이름 자체를 ‘농식품산업부’로 변경하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세웠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나 미국 쇠고기 수입재개문제, 농협 개혁 등 민감한 당면 현안에 밀려 농림부의 주요 안건으로 취급된 적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앞으로 농림부의 식품정책을 어떤 틀로 이끌고 가겠다는 장기 비전과 대안을 고민하고 있는 관료도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식품 정책을 실제로 담당하는 직원도 몇 안 된다. 또 담당사무관의 잦은 인사이동으로 정책의 일관성은 물론 새로운 정책 수립과 집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농림부가 식품산업을 농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번지르르한 말을 수없이 되풀이하고 있지만 실행의지가 진짜로 있는지 되묻고 싶다.
실행계획 없이 공허한 메아리만 울려 퍼지고 있는 데 농업계는 식상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