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 농업연구기관인 만큼 현장을 그만큼 많이 알아야 하고, 농업인의 애로사항을 즉각 해결해 줘야 한다는 청의 방침에 따른 것이다.
여기다가 일반 기업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고객관리프로그램과 같은 업무관리프로그램을 도입해 업무과중까지 겹쳐지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마저 들고 있다.
지난해부터 논의되다가 올해부터 본격 도입한 업무관리프로그램은 각 직원이 ‘누구와 어떤 내용을 상담했는지’를 비롯해 그 사람의 연락처, 전자우편 주소 등을 상세히 기록하는 것으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상담 건수 실적을 직원들의 업무평가 기준으로 삼는다고 하니 연구직, 지도직 가릴 것 없이 전화통에 매달려 있는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직원들의 불만이다.
또 간혹, 실적을 너무 강조하다보니 연구결과가 100%를 달성하지 못했더라도 서둘러 발표되는 사례도 있어 연구직 공무원들이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라는 것이다.
물론 농진청이 농업분야의 전문 연구기관인 만큼 이 쪽으로의 연구를 많이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현장에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 연구결과를 책상 서랍에 넣어 두기 보다는 현장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농업인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의 홍보도 필요하다.
문제는 현장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기초연구를 소홀히 할 수 있음이다. 농진청의 최대 고객이 농민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 타 연구기관 및 학계 역시 소중한 고객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른 지구온난화와 관련, 농진청이 토양·지역·기후 등 각종 요인에 따라 이산화탄소가스 배출량 등 기초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학계의 지적이이 그것이다.
연구직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매달려야 하는 것은 이 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 농업이 농산물 수입개방시대를 맞아 당당히 헤쳐 나갈 버팀목은 결국 농진청의 연구결과에서 나올 수밖에 없고, 공세적인 농업을 펼 수 있는 수출작목 개발 등도 역시 농진청의 몫이 될 수밖에 없다.
홍보나 현장지도 등은 적재적소의 인사정책이나 적절한 역할 분담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지, 업무영역을 벗어나면서까지 하는 것은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이다.
“농업이 어려워질수록 농업분야의 연구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한 직원의 말이 안타깝게만 들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