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농림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농림정책리모델링위원회 2차 회의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농정을 펼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

우선 회의 전체를 공개키로 한 것부터 사전에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 즉석에서 실질적인 결과물을 공개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농업인과 학계, 관련기관 관계자들에게 평가받는 방식의 진행은 그동안의 각종 회의에서는 보기 힘든 모습이었다.

특히 박홍수 농림부 장관이 직접 회의를 참관하고 진행상의 잘못된 점을 꼼꼼히 지적하는 모습을 보면서 향후 위원회에 거는 기대를 크게 했다.

실제 첫 심의 안건인 지역농업클러스터 활성화 지원사업과 지역특화사업, 신활력지역 지원사업 등 농촌산업 활성화 사업에 대한 개편 방안에 대해 농림부는 사업 전체를 통합하거나 대상지역을 구분해 차별화하는 방안, 사업영역을 구분해 차별화 하는 방안 등 3가지 대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장·단점을 사전에 분석해 사업영역을 구분해 차별화 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기존 농림사업과 연계해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까지 도출했다.

이 같은 방안은 즉시 장관에게 보고 후 해당과에 통보해 사업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다만 개선이 시급한 문제를 발 빠르게 대처하는 모습은 긍정적이나 너무 의욕에 앞서 충분한 사전 의견 수렴과 개선방안에 대한 위원회의 심도 있는 검토가 미흡할 우려가 있다.

현재 농림정책리모델링위원회는 2주마다 한번씩 열릴 계획에 있다. 매 회의 때마다 2가지 안건을 심의하게 된다.

2주라는 시간은 2개 사업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책을 마련해 위원회에 상정할 결과물을 만들기도 빠듯한 시간이다. 여기에 사전에 개선책을 위원들에게 배부해 검토할 시간도 필요하다. 이날 회의에서도 위원들 사이에서 이 같은 불만이 나온 것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