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리당략에 의해, 조직의 미래를 위해 적임자를 미리 정해 놓고 바람몰이를 하는가 하면, 농업계 역시 대선정국에 편승해 농업계에 유리한 공약을 내건 후보를, 또는 그렇게 하도록 촉구하
는데 온 힘을 쏟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대한민국 최고 통치권자라는 대통령의 무게에 비춰볼 때 대통령이 갖는 철학이나 이념에 따라 국정운영 방향이 갈리고, 각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농업부문의 경우 시장경제논리보다는 공익적인 잣대를 적용해야 하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대통령이 갖고 있는 농업에 대한 철학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예를 비춰보더라도 시장경제일변도의 국정운영방식을 취해 농업계가 받는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컸다. 농업의 피해가 크다는 점을 뻔히 알면서도 추진한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때 쌀 시장개방,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한·미 자유무역협정 등 개방농정이 그것이다. 또 최소한 개방농정이 불가피한 조치였다 하더라도 농업에 대한 철학이 있었다면 농업계가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하기보다는 국민적 공감대를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했을 것이란 판단이다.
여기다가 아기 울음 그친지 오래된 농촌의 현실, 초 고령 사회로 접어든 농촌에서의 생활, 도시민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문화·복지 혜택 등은 시간이 갈수록 나빠지면 나빠졌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내놓는 공약들을 꼼꼼히 따져봐야 할 대목이다. 이 같은 공약들이 표를 얻기 위해 급조한 공약인지, 임시방편인지, 차별성을 가질 수 있는지 등을 철저히 검토해야 한다.
나아가 이 같은 공약들이 지켜질지, 그렇지 아닐지를 판가름할 수 있는 대선후보들의 농업철학을 확인하는 작업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계 오피니언 리더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농업계 오피니언 리더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은 농업의 미래를 내다보기 보다는 당선가능성이나, 개인의 성향에 따라 줄을 대기에 바쁜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번 대선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농업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중대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농업계 오피니언 리더만을 위한다기 보다는 농업을 위해 대선이 치러지게 해야 진정한 농업계의 오피니언 리더라고 할 수 있다.
농업이 갖는 다원적 기능을 이해하지 못하고, 농업계를 단순히 소외되고, 어렵고, 수혜계층이라는 생각을 가질 경우 그 후보에게서는 농업발전을 절대 기대하지 못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하고, 농업계 오피니언 리더들은 이를 잘 가릴 수 있는 혜안을 발휘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