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건으로 인해 이 해역에서 양식장과 어업을 영위하는 어업인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세계 5대 갯벌을 자랑하던 서해안 갯벌과 청정해역이 기름으로 얼룩지는 최악의 사태를 맞았습니다.
하루 3만명 이상의 자원봉사자들이 기름제거작업에 동참하는 등 전 국민이 힘을 모으고 있지만 전라남도 해안에서 타르 덩어리가 발견되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농업계
올해 농업계는 어느해보다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해였던 것 같습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이나 국제 곡물가와 유가 급등, 태풍 ‘나리’와 병충해로 인해 쌀 생산량이 2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결코 반갑지만은 않은 일도 있었던 반면 남북정상회담으로 다시 남북농업협력사업이 활기를 띤 것이나 그동안 방치돼 왔던 식품산업을 농림부가 맡게 되는 등 단비와 같은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아무튼 어느 해 보다 긴박하게 지나갔던 한해였습니다.
# 147개 재외공관 농식품 수출 전초기기로 활용
농림부와 외교통상부가 지난 4월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전 세계 147개 재외공관을 우리 농식품 수출확대의 전초기지로 활용키로 양 부처가 합의한 것이지요. 특히 양 부처는 농식품수출확대지원팀 구성 등 농식품 수출확대를 위한 재외공관 기본활동계획을 수립해 전 재외공관에 시달키로 했습니다. 가뜩이나 농식품 수출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재외공관을 통한 농식품 마케팅이 본격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여 다행입니다.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식품산업진흥법’ 제정
올해 농림부의 가장 큰 성과라면 아무래도 식품산업을 농림부 업무로 가져왔다는 데 있는 것 같습니다. 보건복지부 등 일부 부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과 ‘식품산업진흥법’이 제정돼 결국 식품산업 육성 업무를 맡게 됐습니다. 농정의 외연확대는 물론 농업과 식품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쌀 소득보전직불제 목표가격 두고 힘겨루기
쌀 소득보전직불제 목표가격 변경을 두고 정부와 농업계의 한판 씨름을 겪은 해였습니다. 2005년 쌀소극보전직불제가 시행된지 3년이 지나 새로운 목표가격을 정해야 했기 때문인데 정부는 법률에서 규정한대로 연도별 쌀가격을 반영해 기존 80kg 기준 17만83원에서 16만1265원으로 5.2%를 낮춰야 한다는 반면 농업계와 농해수위 의원들은 현행대로 동결하거나 인상을 요구했습니다.
결국 농림부는 쌀 시장 완전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연도별 쌀가격을 반영해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 아래 목표가격을 낮추는 안을 확정했습니다.
# DDA 농업협상 진전 없이 마무리
연내 타결을 목표로 진행됐던 도하개발아젠다(DDA) 농업협상이 결국 큰 진척을 보이지 못한 채 내년으로 넘어갔습니다.
지난 7월 세부원칙 초안이 발표될 때까지만 해도 협상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됐으나 막상 협상에서는 회원국간의 입장차이가 여전했습니다.
정부 역시 언제, 어떻게 타결될지 불투명하나 타결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입장이 유사한 국가들과 공조해 대응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따라서 사실상 DDA 농업협상은 연내 타결이 무산된 가운데 세부원칙 수정안이 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1월 하순에야 협상 타결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전망입니다.
# 농림부 조직 개편 단행
농림부 조직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농림부는 지난달 30일 직무범위와 본부 국 및 소속기관 명칭 등을 포함한 전체적인 조직체계를 개편하고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농정수요에 부응하고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서라고 하는데 기존 1차관보 1실 6국 5관 1단의 전체적인 조직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되 농업구조정책국을 ‘농업정책국’으로, 농산물유통국을 ‘농산물유통식품산업국’으로, 축산국을 ‘축산정책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식품진흥과’와 ‘식량유통과’를 신설했습니다. 이울러 산하 기관인 국립종자관리소도 ‘국립종자원’으로, 국립식물검역소는 ‘국립식물검역원’으로 승격됐습니다. 새로 구성된 조직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해 봅니다.
#농약업계 최대 이슈는 동부하이텍의 탄생
-올해 농약업계 가장 큰 이슈는 국내 최대 농약회사인 동부한농이 지난 5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