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농업인 등 수요자 입장의 기술 지원 및 홍보·국회·농림수산식품부 등 정책부서의 욕구충족에 미흡했다. 개방화, 고령화 등 환경변화에 따른 조직·기능의 변화 노력도 미흡하다.”

그동안 농촌진흥청 업무에 대한 외부 평가다. 올해 초 전 농업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대통령직 인수위의 농진청 폐지가 대두됐던 주요 이유기도 하다.

다행히 존폐위기를 넘긴 농촌진흥청에 이수화 청장이 부임하면서 개혁을 위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연구, 지도, 기능평가, 홍보 등 분야별 안팎 관계자들로 구성된 개혁추진단이 구성됐고, 지난 14일에는 청장 주재로 실국 및 소속기관별로 조직활성화 방안 토론회도 가졌다. 지난 19일에는 농업인단체장들과 농진청 혁신방안 마련을 위한 의견수렴 자리도 마련됐다.

이수화 청장은 이 자리에서 “이번 농진청 존폐문제가 나왔던 것은 청으로서는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새로운 환경변화와 정책수요에 부응해 변할 것이니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

농진청은 이날 전면 경쟁체제인 성과중심의 인사제도 도입, 연구·지도·기술·행정 등 통합운영으로 인력재편의 유연성 확보, 현장중심의 조직·기능개편, 시장과 마케팅을 생각하는 실용연구와 기술지도 등의 개혁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날 농민단체들도 지적했듯 개혁방안을 보면 여전히 농진청의 정체성은 모호하고 국내외 환경변화에 부응하려는 의지가 있는지도 의심스럽다.
한례로 연구기능을 생산에서 생산·가공·유통·판매로 재편한다고 하나 비슷한 기능을 하는 타 기관과의 충분한 협의와 역할분담은 미흡하다.
뿐만 아니라 연구·지도·행정직종간 인력 운영의 벽을 허무는 부문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내부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농진청은 이번 개혁이 단순 면피용이 아닌 새롭게 변화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위해서는 청장이하 전 직원이 보다 강력한 개혁의지를 갖고 뼈를 깎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김선희 농식품팀 차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