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협상 타결직후 삼삼오오 시작된 촛불집회는 갈수록 수 만명이 운집하는 대규모 집회로 확산되고 이제는 정권퇴진운동으로 비화되고 있다.
마치 ‘6월 항쟁’의 기억을 되새기듯 중·고생을 중심으로 확산된 집회는 ‘넥타이’ 부대로, 여기에 유모차를 끌고 나오는 젊은 주부들까지 가세하고 있다.
더욱이 이번 집회는 과거 ‘불순세력(?)’들의 배후 조정하에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조직적 데모가 아니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더 크다.
정치적 의도나 목적이 있는 집단행동이 아니라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정부의 ‘아집’에 대한 민초들의 정말 순수한 비난인 것이다.
급기야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은 지난 3일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침통한 얼굴로 기자 회견장에 나타나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여 미산 쇠고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 고시를 연기하고 검역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국민들이 가장 우려하고 있는 30개월 이상 쇠고기에 대해 수출을 중단해 주도록 미국에 요청하고 미국으로부터 이에 대한 답신이 올 때까지 수입위생조건의 고시를 유보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민의’를 수용해 재협상까지는 아니어도 재협상에 준하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한 달 내내 온 나라를 벌집 쑤셔놓은 듯 난장판을 만들고 결국 ‘재협상 카드’를 내놓을 수 밖에 없는 형국이 된 것이다.
미국측이 우리측의 이같은 요청을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다.
아니, 다 끝난 협상을 다시 논하기 위해서 또 다른 어떤 ‘선물’을 줘야 할지도 모른다.
참 어렵게 돌아간다는 생각이다.
캠프 데이비드 회동에 맞춰 선택의 여지도 없이 밀어붙이지 말고 처음부터 이런 수순을 밟았더라면 이렇게 온 나라가 시끄럽지는 않았을텐데 말이다.
먼저 물어보고, 필요한 대책을 세우고, 함께 공유했어야 했다.
집권 초기 있을 수 있는 ‘시행착오’라고 보기엔 너무도 큰 ‘국력’을 낭비했다.
신정부의 이같은 ‘시행착오’는 사실 실용정부 초기, 인수위 시절부터 예견됐었다.
대통령이 농업분야와 관련 언급했던 첫 분야는 어이없게도 ‘농기계’지원사업이었던 것이다.
물론 이 사업이 중요하지 않은 건 아니지만 새로운 청사진을 기대했던 농업계는 실망스러울 수 밖에 없었던 게 사실이다.
농촌과 농업, 축산업은 실용정부에서 내세우는 ‘국익’과 크게 부합되지 않는 FTA에 걸림돌만 되고 있는 ‘왕따’ 산업으로 취급되는게 아니냐는 우려였던 것이다.
이제라도 대통령이 나서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니 다행이다.
그 ‘소통’ 대상에 농업분야가 포함되길 진정으로 바란다.
비싼 댓가를 또 다시 치르는 우를 범해서 안될 것이다. <축산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