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는 이미 녹색경쟁의 시대에 돌입했고, 우리도 이런 흐름에 앞서가지 않고는 선진일류국가로 발돋움 할 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7월 8일 G8 정상회의에 참석해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을 선언하고, 지난 8월 15일 우리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비전으로 제시한 것 또한 이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기후변화는 이미 우리 농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고 쌀 품질 저하, 고랭지 채소생산 감소, 재배적지 변화 등의 혼란을 겪고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면 또한 적지 않다. 겨울철 난방비 절감, 고랭지에서 과수 생산, 남부지역에서 열대과일 생산 등이 그것이다. 특히 농업부문에서 온실가스배출을 저감시키고 탄소흡수원을 확충하는 기술개발과 실용화가 추진된다면 탄소배출권시장을 통한 우리 농업의 신 소득창출원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미국의 탄소거래시장인 시카고 기후거래소에서는 온실가스 감축프로젝트로 농경지 토양탄소흡수와 관련해 상당한 양의 거래가 이뤄지고 있어 농업부문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농업의 신 성장 동력으로 탄소시장 가능성을 짐작케 한다.
우리나라도 2013년이면 온실가스배출저감 의무국가로 가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탄소시장이 우리 농업의 블루오션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정책과 기술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토양탄소 크레딧을 미래농업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미국 의회는 ‘21세기 농정 프로젝트로’, 호주는 비용효과적인 온실가스 수단으로, 일본 농림수산성은 농업부문 온실가스 대책의 핵심과제로 다루고 있다.
선진 각국이 농경지 토양의 온실가스 흡수원이 탄소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지금 우리의 정책과 기술은 과연 어디까지 왔는지 되짚어봐야 할 때가 아닌가.
<김선희 농수산식품팀 차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