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시장 도매가격으로 추석 전 10kg에 1만원을 넘던 배추가 지난달 말에는 6000원선으로 떨어졌지만, 예년에 비해 30%이상 비싼 가격이다.’
지난해 한포기에 3000원선을 웃돌며 ‘금치’라 비유되던 배추는 수급 및 가격안정 대책 회의에 수차례 거론됐고 결국 대통령 인수위원회에 회자될 정도로 오르내렸다.

그러나 올해는 배추 풍년으로 배추 값이 지난해의 절반 이하로 뚝 떨어져 ‘똥치’ 취급을 받고 있다.
산지 유통인들은 올해 밭떼기 계약이후 폭락한 배추 값으로 인해 가락시장 5톤 트럭 1대출하시 작업비 40만원, 포장비 17만원, 트럭 운송비 40만원, 경매 수수료 6% 등을 지급하면 오히려 손해라고 토로한다.

배추 농가도 마찬가지이다.
탐스럽게 자라난 김장 배추를 농기계로 줄줄이 갈아엎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시장에 내놓아 봤자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신세가 되다보니 차라리 보상금 50만원을 받고 갈아 엎는 겁니다. 작년에 배추 한 트럭에 200만원 받았지만 올해는 80만원도 건지기 어려운 형편이다 보니 생산비 수준의 보상금이라도 받고 갈아엎는 것이죠.”

이처럼 농산물 가격은 해걸이를 반복하며 한해는 폭등, 다음해는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비단 배추뿐만이 아니다. 올해는 배, 오이, 감귤 등 해가 갈수록 품목이 늘어나고 있고 특히 등락폭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을 강구할 때이다. 파종부터 생산, 유통에 이르기까지 보다 정확한 통계 데이터가 구축돼 사전에 막아야 농가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시로 산지와 소비지의 수급 상황을 파악해 생산 물량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정부, 지자체, 생산단체들은 보다 긴밀한 정보교류를 통해 각 품목에 대한 정확한 수급파악, 적정 물량을 산출해 더 이상 가격 폭락으로 인해 어려운 농촌에 찬물을 끼얹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신재호 농수산식품팀>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