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거리의 고품질화와 안전성이 강조됨에 따라 농식품 ‘수확 후 관리’ 분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본지는 지난 17일 김영록 국회의원실과 공동으로 ‘농식품 수확 후 관리기술 제도개선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관련단체 등 주변의 많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와 관련, 주무부서인 농림수산식품부 역시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며 최근에는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를 구성, 1차 논의를 가졌다.

하지만 이러한 실무협의회가 본래 추구하고자하는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길로 갈 수 있을까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이안에 특정집단의 이익만을 추구하려는 집단이기주의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제도개선을 위한 실무협의를 위해 객관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 학계, aT, 농협 등각계의 전문가를 초빙했었다. 하지만 왠지 모르게 농식품부에서 애초에 선정한 농촌진흥청 소속 관계전문가가 다른 사람으로 뒤바뀐 채 실무협의회에 나타났다고 한다. 농진청에서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인물로 대체했다는 것이 실무진들의 전언이다.

농식품부에서는 관련기관의 의견을 수렴코자 했다기 보다는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기위해 실무협의회를 구성한 것이다. 전문성을 배제하고 해당 단체의 의견만이 개진 됐을 경우 생기는 왜곡현상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수확 후 관리분야에 대해 주도권을 갖고자하는 농진청의 태도가 꼭이 나쁘다는 것만은 아니다. 하지만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제도개선 방향은 일개 기관에 국한돼 추진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며 사회전체의 이익을 추구해 나갈 수 있는 포괄적인 범주의 접근이 필요한 정책 사안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집단이기주의. 이는 자기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만을 추구하고 사회전체의 이익은 염두에 두지 않으려는 태도로 님비현상과 핌비현상으로 나뉜다.

핌비현상이란 자기집단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사안을 끌어들이고자하는 집단이기주의의 한 행태로 정의된다. 농진청이 혹시 이러한 핌비현상에 사로잡혀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 번 되돌아봐야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