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목포수협이 현 조합장의 뇌물수수와 조합원의 강제탈퇴에 따른 직권남용 등으로 검찰과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또 다시 횡령의혹까지 불거져 빈축을 사고 있다.

더욱이 전 현직 조합원의 고소, 고발로 검·경의 목포수협에 대한 압수수색이 최근에만 3차례나 실시되는 등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목포수협은 최근 실시된 조합장 선거에서 당선된 현 조합장이 인사청탁 등의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로 현재 불구속 상태에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또 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조합원 자격을 박탈한데 불복해 법원에 ‘조합원 제명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했던 최 모씨가 전남지방경찰청에 직권남용을 이유로 고소장을 접수해 수사가 진행 중에 있다. 여기에 현 조합장에 대한 직무정지 가처분이 법원에 신청되는 등 목포수협에 대한 검·경의 수사가 잇따르고 있다.

이처럼 연초부터 불거진 목포수협 비리 의혹과 관련 회원조합에 대한 지도·관리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농림수산식품부는 5월 중순이 되어서야 부랴부랴 조합에 대한 특별감사를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빈축을 샀다.

이와 관련 수협중앙회는 목포수협 의혹 관련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중앙회는 원칙적으로 회원조합에 강제적인 처분이나 조치를 할 수는 없으나 수협법에 근거해 회원조합을 충실히 지도 감독하고 있는데도 최근 목포수협에서 의혹이 불거진 것’에 대해 사과했다. 수협은 아울러 ‘어업인을 위한 어업인의 수협’으로 재탄생하기 위해 뼈를 깎는 대규모의 근본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겠다고 함께 밝혔다.

어업인들은 이를 두고 정부의 늑장대응도 문제지만 수협이 발표한 사과문 내용은 수협 존치에 대한 의구심마저 들만큼 책임 부문에서 한 발 비껴선 것이라며 분개했다. 어업인들은 수협이 어업인들의 속 끓는 고민을 내내 모른척하다가 결국 우리 ‘책임이 없다’며 뒤로 물러서고 있다며 현재 불거진 문제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구조조정이니 고강도 개혁 등을 운운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어업인의 요구에 언제나 귀 기울이고 각종 선진화 방안을 동원해 어업인을 위한 수협으로 명실상부하게 재탄생하겠다는 수협의 각오가 무색해지는 순간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