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흐름의 변화는 농기계를 ‘소유’의 개념에서 ‘대여’의 개념으로 바꾸어 가고 있는 소위 ‘농기계임대사업’으로 대변된다.
2000년대 초부터 정부 주도하에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밭작물농기계임대사업’, 신정부 들어 이명박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농협에서 추진하고 있는 ‘수도작 위주의 농기계임대사업’ 등 농기계임대사업이 농업기계화사업의 전부인양 비춰지기도 한다.
하지만 일선농가들은 헛갈린다. 농협이 추진하는 임대사업의 공식명칭은 ‘농협농기계은행사업’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임대사업은 지역마다 천차만별이어서 ‘농기계은행’, ‘농기계임대은행’, ‘농기계임대사업소’ 등등 아직 통일된 명칭하나 없다.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농기계임대사업’이라는 공식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자체에서는 은행이나, 임대 등을 혼용해 표현함으로써 농가들이나 관계자들의 혼돈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농기계를 임대하기위해 농협으로 가야하는지, 농기계은행으로 가야하는지, 농업기술센터로 가야하는지, 농기계임대사업소로 가야하는지… 농업인들은 헛갈린다.
최근에는 VIP가 모 지자체 농기계임대사업소를 방문했는데 ‘농기계은행’이라는 간판을 보고 농협시설로 착각해 지자체 담당자가 아닌 농협관계자를 격려하는 해프닝마저 벌어졌다고 한다.
정부 주도하에 일관성을 띠고 추진돼야하는 농업기계화정책사업이 명칭하나 통일하지 못한 채 변화의 국면을 맞고 있다는 것은 그 사업의 지속성을 의심케 하는 부분이다.
하루 속히 지자체 농기계임대사업에 대한 통일된 공식명칭을 제정, 사용케 함으로써 농가들의 혼돈을 막고 정부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