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생산단계에만 머물던 소, 돼지 축산물이력제가 유통단계까지 확대되면서 사육·도축·포장처리·판매단계에 이르기까지 소비자들은 한눈에 국내산 축산물의 이력을 살펴볼 수 있게 됐다.

축산물이력제를 통해 생산된 이력정보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111개 농업·농촌분야 공공데이터 중 조회수 1위에 오르면서 업계에선 축산물이력제의 이미지가 또 하나의 ‘브랜드’로까지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물이력제 유통단계 의무화 2년을 맞아 마냥 박수만 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축산물이력제가 새로운 도약을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모두가 직시하고 있겠지만 축산물이력제는 생산부터 판매까지 연결고리가 어느 곳 하나 끊어지거나 엉성해서는 안된다. 전산신고의 특성상 정확도는 신뢰도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특히 영세판매업소가 많은 재래시장 등 유통단계 이력관리에 있어 취약 내지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산신고 인프라 완비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는 유통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조치다.

또한 DNA 동일성 검사건수를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다. 여기에 더해 DNA 검사정보는 활용하길 원하는 수요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활용토록해야 할 것이다.

축산물이력제는 도입 시기 등으로 소에 비해 여전히 상대적으로 돼지에서 관심이 덜 한 게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 포장처리단계에서 요구하는 묶음번호 가능마릿수의 확대도 가능하다면 검토해봐야 할 것이고, 도축단계에서 비용부담을 이유로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부분도 역시 해소해 나가야 할 것이다.

축산물이력제는 제도의 취지를 놓고 볼 때 소비자는 물론 결국 축산업 종사자를 위하는 제도임이 분명하다. 앞으로 보다 정확하고 활용도 높은 축산물이력정보가 유통되고 소비되길 바라며 운용의 묘를 살려 제도의 새로운 변화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