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남북고위급회담’에서 논의된 산림협력 분과회의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류광수 산림청 차장을 수석대표로 3명의 대표단이 구성돼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이번 회의에서 어떤 합의가 이뤄질지 산림 관계자들의 이목은 모두 이들에게 쏠려있다. 남북 산림협력의 기본 방향이 제시될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정부는 북한의 산림 면적을 899만ha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32% 수준인 약 284ha의 산림이 황폐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전세계 180여개 국가 중 산림 황폐화율이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수치다. 먹을 것이 부족하고 입을 것이 부족한 북한 주민들은 산에 있는 나무를 식량으로, 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뗄감으로 사용하는 등 생활지 근처 산림 황폐화는 매우 심각한 상태다. 그렇다고 이에 대해 북한 당국이 가만히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북한 역시 산림 황폐화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2015년을 산림복구전투 원년으로 삼아 자체적으로 산림 복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도 “산림 복구 전투 성과를 더욱 확대하라”고 직접 언급할 정도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번 산림협력은 무엇보다 단기적 성과보다 지속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묘목만 심어서는 제대로 된 산림을 육성하기 어려운 만큼 산사태 방지와 토질개선 등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방제 약제와 대응 기술협력도 중요 과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꽤 오랜만에 찾아온 남북 화해 분위기를 더욱 깊게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그들의 말을 충분히 듣고 난 뒤에 북한 산림을 어루만지는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죽기 전에 고향 땅을 밟을 수 있겠다’는 희망을 품고 있는 실향민들이 푸르른 백두대간 전역에서 삼림욕을 즐길 수 있도록, 그 날이 하루 빨리 다가올 수 있게 모레 있을 산림협력에서 좋은 성과가 나오길 간절한 마음으로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