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2세대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편의성·생산성 증대에 초점을 맞춘 1세대를 지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영농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2세대 수준으로까지 국내 스마트팜 기술이 발전된 것이다. 이는 농진청이 2014년부터 기후정보 및 로봇기술을 더한 한국형 3세대 스마트팜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해 온 지 4년여 만에 이뤄낸 성과다.

이처럼 센서 및 ICT(정보통신기술), IoT(사물인터넷), 로봇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융·복합된 스마트팜은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수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팜 관련 정책 및 사업 등이 추진될 때 단기적 성과를 요구하는 목소리는 계속해서 있어 왔다. 스마트폰 조작도 어려워하는 고령농이 대부분인 농업·농촌에서 기술고도화를 이룬 스마트팜이 무슨 소용이냐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과 우려가 과해 스마트팜의 발전을 더디게 하기 보다는 미래 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최근 열린 ‘농업·농촌의 길 2018’ 행사에서 이와 관련해 좋은 예가 될 만한 문답을 들었다. 스마트팜 관련 주제발표 현장에서 한 농업인이 발표자에게 “최근 어디에서나 스마트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큰 수익을 보고 있는 스마트팜이 몇이나 되냐”고 물었다. 십수 년 전부터 스마트팜 및 식물공장 관련 연구개발을 추진해 온 일본에서도 수익이 나오지 않아 도산하는 스마트팜 농가, 업체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에 발표자는 스마트팜이 곧 수익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스마트팜 관련 연구에서 손을 놔야 한다는 걸 의미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일본의 사례는 지금까지의 농산업의 한계성을 보여줄 뿐이며 그에 대한 해결책은 또한 스마트팜의 발전을 통해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이는 스마트팜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이 아니라 스마트팜을 단기적 성과 창출의 수단을 넘어 미래 농업의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이의 주장이다. 스마트팜이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및 생산성 감소, 기후변화 문제 등을 해결할 대안이 될 수 있는 건 분명한 만큼, 관련자들도 스마트팜을 미래 농업의 지향점으로 삼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을 지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