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코로나19 재확산이라는 위급상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병원을 지켜야할 의사들의 파업과 진료거부가 지속되고 있다. 집단휴진으로 인해 국민들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속에서도 공공의대 설립 등을 반대하기 위한 의사들의 이같은 단체 행동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집단이기주의의 발로라고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 국민과함께하는농민의길과 한국농업경영인총연합회 등 농민단체들은 잇따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의사들의 집단휴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수도권과 지방의 심한 의료 불평등과 의료 취약지 개선을 위해서라도 지역 공공병원가 공공의사 확충이 불가피하다며 명분없는 집단휴진을 증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또 농어촌·도서지역의 경우 도시에 비해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데다 의료접근성이 낮아 감염병 확산 시 더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정부의 주요 의료정책에 찬성의 뜻을 분명히 밝히고 의료파업에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동안 의료 취약지역으로 제대로 된 의료서비스를 받기 어려웠던 농어촌 지역은 정부가 최근 발표한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비대면 진료 도입 등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촌·도시 건강실태 및 의료비용 효과 비교와 정책과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농어촌 7591개소의 의료기관 수는 도시의 12.6%에 불과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국내 의사의 절반 이상인 52.1%가 수도권에 분포돼 있는 반면 농촌에서 활동하는 의사 수는 전체의 5.7%밖에 안되는 게 현실이다.

이제라도 의사단체들은 집단 휴진을 즉각 중단하고, 정부는 도시와 농어촌간 심각한 의료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