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역대급 폭염’, ‘역대 가장 더운 한 해’, ‘재난이 된 극심한 폭염’.
올 여름 주요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한 폭염. 우리나라는 바야흐로 ‘기후위기의 시대’라는 말이 실감되는 한해를 보내고 있다. 역대 최악의 폭염이라고 했던 1994년과 2018년의 더위기록을 갈아치울만큼 심각한 폭염에 시달리는 지금, 기후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수산업계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해수온도 상승폭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기에 어업인들의 고민은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실제로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한 ‘2024 수산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는 우리 바다 표층수온이 지난 56년의 관측 기간 중 가장 높은 해였고 이로 인해 우리 바다의 기초생산력이 감소하고 고수온과 산소부족물덩어리 등 해양의 이상현상들이 늘고 있다. 특히 수산자원의 변동성 문제가 심각하다. 연근해 수온이 상승하며 제주도에서 주로 어획되던 방어는 이제 동해안에서 어획량이 늘었고 아열대성 어종의 출현 개체수도 늘고 있다.
극심한 기후변화는 이제 기후위기가 됐고 기후와 환경의 영향을 직접 받는 어업인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동해안의 오징어다. 기후변화와 남획, 산란·서식장 파괴 등으로 오징어 어획량이 급감했고 어업인은 도산위기에 직면했다. 동해안 지역에서 열리던 오징어 축제는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어촌경제 역시 악화되고 있다.
앞으로도 기후변화가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인 지금, 수산업계에 필요한 것은 공론의 장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연근해어업 관련 제도는 유엔해양법의 발효 등에 맞춰 그 틀이 마련됐다. 30년 가량 흐르며 우리 바다의 환경은 달라졌고 어업을 둘러싼 여건도 달라졌다. 전문가들이 연근해어업 구조개선과 수산자원회복을 위한 정책의 새 판을 짜야한다고 입을 모으는 이유다.
새 판을 짜기 위해 중요한 것은 수산업계와 학계, 정부, 국회가 함께 지혜를 모으는 것이다. 밀실에서 방향을 정하는 대신 토론의 장을 만들어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해 공유하고 수산업·어촌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함께 논의해야 한다. 함께 논의하지 않은 정책은 현장의 수용성을 담보할 수 없어 실효성을 내기도 어렵다. 기후위기의 시대, 더 많은 공론장이 필요한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