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수산식품안전종합대책, 어디까지 믿을 수 있나?

중국산 장어와 홍민어 등에서 발암물질로 의심되는 `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된데 이어 국내산 송어와 향어에서도 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됐다.

정부는 중국산 어류에서 말라카이트 그린이 검출됐을 당시 국내산 어류는 안전하다고 국민들에게 발표했다. 불과 발표 두달만에 말을 바꾼 것이다.

소비자는 불안하다.

양식업자들도 불만이 쌓이고 있다.

한 소비자는 말한다. “국내산은 안전하다더니.... ”

양식업자는 한숨이다. “정부에서 한번도 말라카이트 그린을 쓰지 말라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중국산 뱀장어에서 이 물질이 검출됐다는 언론보도를 보고서야 아~ 사용하면 안되겠구나 하고 짐작했을 뿐입니다.”

문제는 정부의 대응대책이다.

수입산 활어에서 발암의심물질이 나왔을때 국내 양어장에서 이와같은 물질을 사용하고 있는지 철저한 조사와 분석이 이뤄졌다면 이와같이 우스꽝스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무슨 일이 터지면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쉬쉬하고 넘어가다보니 정부의 안전관리대책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점점 더 추락하고 있다.

지금도 정부는 강원도 등 11개 시·도에 전국 296개 송어양식장 및 140개 향어양식장을 대상으로 출하중지 조치만 긴급 시달했다.

해면양식어류는 안전하나 물어도 검사를 해보겠다는 묘한 태도로 국민들을 헷갈리게 한채 말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정부는 현재 양어장에서 말라카이트 그린과 같은 또 다른 물질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은지, 대체할 수 있는 약품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탄탄한 검사·검역체계를 마련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 이상 국민의 건강을 담보로 안이한 대처를 계속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