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어업인 생존권확보 비상대책위원회는 동해안 어업인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칼바람이 매섭던 지난 13일 해양수산부 청사앞.

동해안어업인 생존권확보 비상대책위원회 김성룡 회장은 며칠째 계속되는 강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홀로 단식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김 회장은 “십여년전부터 행해온 대형트롤 동경 128도 이동불법조업은 유전무죄요, 무전유죄의 산물로서 이제는 정부의 묵인하에 버젓이 동해바다를 활보하며 합법적인 채낚기 어업보다 생산량이 더 많아 주객이 전도된 지 오래”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부터는 중국어선 144척이 북한 동해수역에서 쌍끌이 조업을 시작함에 따라 우리 어업인들이 이에 대한 자원고갈의 우려와 더불어 정부의 대응을 촉구해왔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없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최근에는 해양수산부가 해양오염방지대책과 관련 조업구역을 분명히 밝혀 어업인을 보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책도 없이 무자비하게 언론 보도함으로써 동해안 홍게잡이 어선과 가공업체가 줄줄이 도산위기에 놓여져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해양수산부는 북측 중국어선문제는 관계기관과 협의해 해결토록 노력, 홍게는 조속히 대책 마련, 동경 128도 이동불법조업은 해경과 협의해 강력히 단속하겠다는 실효성 없는 대책만 줄줄이 내놓고 있다.

당장 생계를 걱정하는 어업인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책을 정부가 조속히 마련함으로써 제 2의 ‘말라카이트 그린’사태와 같이 ''대책없는 정부''란 비난을 받지 않게되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