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봄철을 맞아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전국에서 발생해 아까운 산림을 태우고 있다.

국경일인 3월 1일에만도 전주, 춘천, 남양주, 김제 등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바로 전날인 2월 28일에도 예산, 대구, 진안, 원주에서 산불이 났다. 특히 이들 산불로 남양주에서는 60대 남자가, 예산에서는 70대 할머니가 숨지는 인명피해도 발생했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산불은 자연적인 발생보다는 대부분 입산자의 실수나 담뱃불, 논두렁 소각, 성묘객 실화 등 사람의 사소한 부주의로 발생해 더욱 안타깝다.

산불예방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최근 10년 사이 대형 산불피해 면적만도 1996년 강원 고성산불 3692ha, 2000년 동해안 산불 2만3794ha, 2005년 양양산불 1141ha에 달하고 있다. 올해 산림청의 조림목표가 2만ha라는 점을 감안하면 산불피해가 얼마나 심각한가를 알 수 있다. 산불을 예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농림부와 산림청이 지난 2일 울진 국유림관리소에서 산불방지대책회의를 가진 것도 바로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특히 대형산불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산불감시체계를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 산불감시요원을 늘려 방지활동과 동시에 예찰활동을 강화해야 대형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동시에 인화성 물질을 휴대한 사람의 입산을 철저하게 금지해야 한다. 아울러 산불감시요원을 활용해 산중에서 담배를 피우는 행위도 철저하게 단속을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국립공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카메라 촬영을 통한 단속을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강구해야 한다. 인화성 물질의 입산금지만 중요한 게 아니라 사후감시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입산자로 인해 사람의 실수로 인해 산불이 발생하는 일을 막아야 한다. 중복되는 지적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산불감시요원을 확대하고, 국고지원을 통해 이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는 방안도 뒷받침돼야할 것이다.

일단 산불이 발생한 다음에는 초동진화를 신속하게 해야 한다. 초동진화에 성공하면 피해가 줄어들지만, 초동진화에 실패할 경우 그 피해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커진다. 동해안 산불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산불의 신속한 진화가 말처럼 쉬운 게 아닌 만큼 이를 위해 산림청은 산불방제 장비와 인력을 확충하고, 현장에서 즉시 가동할 수 있는 매뉴얼을 생활화해야 한다.

산불방지를 위해 특히 중요한 점은 전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산림청이 아무리 총력체제를 구축하고 산불방지에 나선다고 해도 국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나 성원, 협조가 뒷받침돼지 않는다면 산림청의 노력은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짙다. 산불방지는 산림청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산림청은 대국민 홍보강화를 통해 전 국민이 산불방지 노력에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전 국민적인 산불방지 동참 공감대가 형성되고 하나하나 실천될 때 산불은 방지되고, 짧게는 수십년, 길게는 수백년을 가꿔온 산림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고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는 것이다.

봄철은 나무를 심는 철이다. 동시에 산불예방에 총력을 기울여야할 시점이다. 식목 못지않게 산불방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전 국민의 동참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