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우송아지가격의 폭락세가 지속되면서 정부와 축산업계가 골머리를 싸메고 있다. 육우송아지가 폭락하면서 목장마다 수송아지가 적체돼 들끓고 있다는 호소가 이어지고 있다.

농협 축산경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육우송아지 평균가격은 3~10일령 초유떼기가 1만7000원선, 50~60일령인 분유떼기가 19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 초유떼기가 4만7000원을 기록한 후 한때 7만원선까지 올라갔던 가격이 지난해 6월 이후 폭락세를 보이며 1만원대로 추락한 것이다. 분유떼기 가격도 지난해 1월 17만원을 시작으로 6월 30만6000원까지 오르다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11월에 10만원대로 떨어졌다.

이처럼 육우송아지가격이 폭락하자 한국낙농육우협회 등 축산업계는 그동안 정부에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해 왔다.

이에 최근 농림수산식품부와 농협중앙회는 조합별로 송아지를 구입해 사육후 출하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나 시행까지는 산적한 문제가 많다.

농식품부와 농협은 현재 조합이 초유떼기 수송아지를 낙농가로부터 구입해 자체 생축장이나 위탁농가를 활용해 분유떼기까지 사육후 육우농가에 조달하거나, 22~24개월령까지 사육후 출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분유급여로 인한 인력소요와 초기폐사율이 높아 조합의 관리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할 수 있는데다 수송아지를 낙농가로부터 구매해 육우농가에 조달하는 과정에서 중간상인과의 위탁계약 체결이 어렵다는 문제도 해결과제다. 여기에 조합 손실에 대해 정부의 합리적인 보상대책도 필요하다.

이에 앞서 더욱 필요한 것은 육우산업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판매시장을 개척하는 일이다.

비록 지난해 정부가 육우송아지 가격 안정을 위해 송아지요리를 개발, 육우시장의 외연을 확대코자 하는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했으나 결국 시범에 그쳤다. 각종 요리를 개발해 시식회 등 송아지고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도했지만 구매단계까지 이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육우는 축산업이 있는 한 필연적으로 생산될 수밖에 없는 산물이다. 따라서 정성들여 사육해도 팔 곳이 없는 육우를 누가 지킬 것인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정부도 하지 못했던 일을 육우농가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명백한 책임회피다.

목장에서 주인을 못 찾은 송아지가 넘쳐 나면서 목장경영 및 사육환경 악화 등으로 사육을 포기하는 육우농가가 속출하고 있다고 한다. 하루빨리 육우농가의 근심을 덜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강구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