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위 기술 개발·상업화 지원…세계와 발 맞춰야"
다양한 품종, 적은 비용으로 개발 가능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을 관리하지 말자는 게 아니라 ‘정확히’ 관리하자는 겁니다. GMO(유전자변형농작물)와 확실히 구분되는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물은 개발과 상업화를 지원해 세계적인 기술발전 흐름에 발 맞춰야 합니다.”

한지학 툴젠 종자연구소장은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 개발을 지원하고 관리할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 소장을 만나 유전자가위 기술개발 및 투자 동향, 제도 도입 방안 등을 들어봤다.

# 국내외 기술 개발 및 투자 동향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작물육종 분야에 활발히 도입하고 있는 나라로 미국과 중국을 꼽을 수 있다.

미국에선 최근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을 가공·판매하는 스타트업이 생겨났다. 미국 내 글로벌 종자기업은 이 같이 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투자하거나 인수하는 식으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하면 더욱 다양한 품종을 더 적은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어서다.  

중국에서도 식량안보 확보 차원에서 유전자가위 기술을 포함한 농업생명공학기술 분야에 막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세계에서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 관련 논문을 압도적으로 많이 발표하는 국가도 중국이다.

반면 국내 종자업계는 상대적으로 유전자가위 기술 인식과 도입 의지가 높지 않다. 이는 아직까지 유전자가위 기술의 사회적 공론화가 부족하고 관련 제도가 마련돼 있지 않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 안전성 논란에 대한 입장과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은
“업계의 유전자가위 기술 도입이 더딘 건 GMO와의 차이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있어서다.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은 GMO와 달리 인위적인 외부유전자 삽입 없이 내부유전자를 교정해 만들 수 있다. 이때 최종 작물에 유전자변이 흔적이 남지 않아 일반 교배육종에서 나타나는 작물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전자변이 흔적이 분명히 남는 GMO와 같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규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기술적으로는 원하는 유전자 부위 외 다른 부위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표적이탈 오류 가능성이 없진 않다. 이에 툴젠은 기술정확도를 높인 ‘스나이퍼 카스9(Sniper-Cas9)’ 유전자가위를 개발했다.

또한 동물과는 달리 식물은 표적이탈 오류 발생 시 바로 도태시키거나 선발·품종화하지 않을 수 있다.”  
 
# 제도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유전자가위기술 적용 작물을 관리할 제도는 GMO 제도와는 별도로 마련돼야 한다. GMO와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의 경우를 제도적으로 명확히 하고 개발업자가 규정에 따른 심사를 거치도록 해야 한다.

유전자가위 기술 적용 작물이 GMO와 동일 선상에서 관리·규제된다면 신육종기술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발전되는 상황에서 국내 업계는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이는 농업인에게도 손해가 될 수 있다.

유전자가위 기술의 과도한 규제는 종자업계가 더욱 다양한 품종을 저렴한 값에 공급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할 수 있다. 이는 구매자이자 생산자인 농업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사회적 공론화를 통해 안전성 우려를 예방할 제도적 안전장치를 구축하면서 기술개발과 상업화도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